우리 세대 다시 보기 어려운 노교수의 역작

고구려에서 20세기까지, 대덕의 사상에서 명찰의 문화까지
한국 불교 1700년의 흐름과 진수를 한눈에

불교가 이 땅에 들어온 지 대략 1,700년이 흘렀다. 그간 불교는 신앙으로, 왕권의 버팀목으로 혹은 호국의 방패로 우리 역사의 영욕을 함께했다. 그런 만큼 불교를 빼놓고는 한국사를 이야기할 수 없다. 비단 역사만이 아니다. 지금도 쓰이는 ‘이판사판’이니 ‘야단법석’이니 하는 말에서 보듯 불교문화는 알게 모르게 우리 곁에 깊숙이 스며들어 있다. 하지만 우리 대부분은 불교를 잘 모른다. 2011년 현재 불교 종단 수는 265개,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만 조계종을 비롯해 20여 종단이 소속되어 있지만 그렇다. 이들 종단이 어디서 유래했고, 그 진체는 무엇인지 제대로 아는 이는 드물다. 지금 우리가 어디에 서 있고, 어디로 가는지 알려면 역사를 아는 게 필수다. 불교를, 불교사를 이해해야 할 이유다. 그런 점에서 한국 불교의 1,700년을 정리한 이 책은 반갑고 귀하다.



저자 : 정병삼       

숙명여대 역사문화학과 명예교수. 1977년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1991년 같은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3년부터 1991년까지 간송미술관 수석연구원을 지냈고 1991년부터 2019년까지 숙명여자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신라 불교사상과 문화를 비롯한 한국 불교사와 한국 문화사를 주로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의상화엄사상 연구》, 《그림으로 보는 불교이야기》, 《나는 오늘 사찰에 간다》, 《일연과 삼국유사》, 공저로 《우리문화의 황금기 진경시대》,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전통의 흐름》, 《한국 불교사 연구 입문》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 〈의상 화엄사상의 사회적 의의〉, 〈고려대장경의 사상사적 의의〉, 〈8세기 화엄교학과 화엄사찰〉, 〈혜초가 본 인도와 중앙아시아〉, 〈佛典 간행과 高麗 인쇄문화〉, 〈조선 후기 사원의 문화적 특성〉 등이 있다. 문화재청 사적분과 문화재위원, 대한불교조계종 삼보보존위원회 위원, 한국의 전통산사 세계유산 등재추진위원회 전문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한국불교사 ㅣ 정병삼 지음 | 푸른역사 | 값 38,000원














 

 

SNS 기사보내기
전수진기자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