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붕 서경보 대종사 전기

<붕새의 꿈과 기적>


제4장 큰스님의 어린시절

 

<신동으로 귀염받던 어린시절>

어린시절의 큰스님은 재주만 뛰어난 것이 아니라 마음씨도 유달리 고왔다. 재주가 좋다고 뽐내지도 않았거니와 같이 공부하는 학동들이 글공부하는 재주가 없다고 해서 깔보거나 업신여기는 법도 없었다.

 

큰스님은 눈을 지그시 감으시고 어린시절을 이렇게 회상하셨다.

“그때 서당에서 함께 공부하던 동무들의 대부분이 나보다 나이가 많았지요.

몇몇 나이많은 동무들은 장가도 갔는데 엉성하게 상투를 틀고 다니는 모습이 무척 우습기도 했어요. 당시 무척 엄격하셨던 훈장님께서 그날 가르켜주신 대목중에 중요한 대목은 꼭 외우도록 하셨는데 일일이 시켜보시고 외우지 못하는 아이는 종아리를 때리셨거든요.

당시 글재주가 없어 단골로 매를 맞았던 동무는 훈장님의 손때가 매우 무섭다고 얼굴을 찡그리며 말하던 기억이 나는구만

훈장님께서 매를 들고 재주없는 동무의 종아리를 때릴 때면 우리는 모두 숨을 죽였고, 그때마다 벌떡 일어나 대신 매를 맞아주고 싶었던 생각이 꿀떡같았지요.”

그래서 노는 시간에도 밖에 나가 놀지 않고 글재주없는 아이에게 자진해서 가르쳐주곤 했다고 하셨다.

 

< 산 물고기를 놓아준 자비심 >

또 스님은 남다르게 자비심도 많아서 할아버지가 애써서 바다에서 잡아온 물고기 중에 죽은것만 놔두고 살아 숨쉬는 물고기는 모두 골라 마을 앞 바다에 놓아주기도 했다고 한다. 이렇게 잡아온 고기를 놓아주자 할아버지께서는 처음에 역정을 내시더니 어린 경보 소년이,

“ 할아버지, 숨을 헐떡이는 고기가 불쌍해서 놓아주었습니다.” 라고 말하자 할아버지께서는 더 이상 역정을 내시지 않으셨지만 할아버지는 대신 잡은 고기를 죽여 가져 오시기 때문에 할아버지는 다른 어부들보다 고기를 싸게 팔아야 하셨다고 한다.

 

이 대목의 회고담을 들어보기로 하자

“ 숨을 헐떡이는 물고기가 불쌍해 놓아주었던 것인데 할아버지는 애써서 잡은 고기를 놔주는 손주녀석이 철없어 보이셨던 것 같애, 그 다음부터는 아예 잡으신 족족 말려 가져오시는 거예요. 어느날 밤, 나는 할아버지와 이불속에 들면서 말씀드렸어요. 다시는 산 고기를 놓아주지 않을터이니 고기를 죽이지 마시라고 했지요. 어린 손자의 뜻을 알으셨던지 그 다음부터는 그냥 가져오셔서 일부러 산 고기들을 추려 나에게 건네주시며 ‘이것 네가 가서 살려주어라’ 라고 하시더군요.”

 

또 동네아이들이 한여름철 대부분의 농어촌 어린이들이 의례히 그러는것처럼 뱀을 때려 죽이거나 개구리를 밟아 죽이는 모습을 보거나 길가의 꽃나무를 함부로 꺾는 것을 목격하면 아무리 말못하는 미물일망정 산 목숨을 함부러 죽이면 벌 받는다는 말로 그런 놀이를 삼갈 것을 부탁했고, 동무들과 결코 싸우며 노는 적이 없었다. 이런 경보 소년을 두고 마을사람들은,

“ 그애는 글재주만 있는 것이 아니라 품행도 단정하고 몹시 순한 아이” 라고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천성이 부지런했던 어린 경보 소년은 책벌레같이 방구석에 쭈그리고 앉아 글공부만 했던 것은 아니다. 집안을 깨끗이 쓸고, 동네 우물에 가서 물을 퍼다가 부엌의 물항아리를 채우는 것은 스스로 자신의 몫으로 챙겨 일했고,어머님이 밥을 지을때는 의례히 부엌에 나가 대신 불을 때곤 했다고 한다.

 

제5장 귀여움 독차지했던 어린시절

 

< 가장 어린 글방도령 >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했던 큰스님은 글방도령이 되어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큰스님의 나이 여섯 살, 큰스님이 동네서숙을 찾았을 때 가장 어린 학동이었다. 그 서숙에는 대개 10여세가 훨씬 넘는 아이들이 다니고 있었으며, 그중에는 이미 장가를 든 15~16세 소년이 상투머리를틀고 서숙에 다니고 있었다.

 

집에서도 귀여움을 독차지했던 어린 경보 소년은 서숙의 학동들 사이에서도 남달리 귀여움을 받았다. 가장 나이가 어린 꼬마라는 이유뿐만이 아니었다. 나이는 가장 어리면서도 총기가 유달리 뛰어났기 때문이다. 웬만큼 총명하다는 학동이 3~4개월은 되어야 겨우 끝내는 천자문을 어린 경보 소년은 불과 1개여월만에 외우고 쓸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어서 동몽선습(童蒙先習), 자치통감, 사략(史略) 등을 배울때에도 다른 학동에 비하여 탁월한 총명을 보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웬만큼 총명하다는 아이들의 경우 배움의 초입에는 번쩍 총기를 보이다가도 배움이 깊어지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총기를 덜 나타내고 때에 따라서는 싫증을 내기가 예사였으나 어린 경보 소년만은 배우면 배울수록 물리(物理)가 터서 더욱 총기를 발함은 말할 것 없거니와 하나라도 더 배우려고 애를 썼다.

 

당시 석유 호롱불이 조명시설의 전부였던 때였으며 당시 석유값은 금값이었다. 따라서 경제력이 낫다는 도시에서는 물론이려니와 웬만한 농어촌의 경우 겨울철에는 밤7시만 되면 칠흑의 세계였다. 물론 손자를 애지중지하시는 할아버지가 ‘ 어떤 고생을 치루더라도 손자의 공부만큼은 시키고 말겠다’ 는 의지에 따라 손자가 불을 켜고 공부할 수 있을 정도의 석유는 어떻게 해서든지 비축하고 있었지만 철이 들기 시작한 경보 소년은 낮에 동네아이들과 뛰어놀고 밤늦게 호롱불을 밝히며 공부하느니보다 낮에 공부하는 것이 석유를 아끼는 길이라는 것을 깨닫고 해가 지기 전까지 그날 배운 것을 완전히 읽어 외우고 말겠다고 결심했다.

 

골목길에서는 이웃아이들의 떠들고 노는 웃음소리와 말소리가 왁자지껄하게 들렸다. 한참 자라는 개구쟁이 나이의 어린 경보 소년은 ‘우리 서숙에서는 내가 공부를 제일 잘하는데...’하는 자만심과 애들과 어울려 놀고싶은 생각에 책을 내던지고 밖으로 뛰쳐나갈 생각이 머리를 스쳤지만 평소 할아버지가 아버님께 하시던 말씀이 머리에 떠올라, 다시 주저앉아 공부를 시작했다.

 

남달리 새벽잠이 없으시던 할아버지는 꼭두새벽에 일어나시어 집안과 고삿을 깨끗이 쓸고 아침밥을 자시며 농사일을 도맡아 하고 있는 아버지께 이렇게 말씀하고 당신은 물일을 나가셨다고 한다.

“농부란 제 때에 씨앗을 뿌려야 하고 그 싹이 돋아난 어린시절에 제대로 돌봐야 가을에 풍성한 수확을 거둘 수 있는거야” 하시고는 어린 경보 소년을 돌아보며,

“사람도 마찬가지란다. 공부도 배울 때 배워야지 크고 나면 배우고 싶어도 배울 수 없는게다”

라는 가르침을 잊지 않으셨다고 큰스님은 그때를 회상했다.

 

그러면 여기에서 다시 큰스님의 10세 이전의 회고담을 들어보기로 하자.

“그때 우리 식구들에게는 제각각의 몫이 있었지요. 바다에 나가서 하는 물일은 할아버지 몫이었고, 잔손질이 많이가는 농사일은 아버님 몫이였어요. 할머니와 어머니는 들에 나가 일손이 딸리는 아버지를 도왔고, 특히 어머님은 아버지를 돕는 틈틈이 부엌일도 해야 했고요. 내 몫은 물론 공부였어요. 철없던 시절에 나는 이런 생각도 해봤지요. 물일이나 들일은 얼마만큼 일했는가의 태가 나거든요. 그러나 공부야 어디 태가 나나요. 물에서 돌아오는 할아버지께 이만큼 일 했습니다 하고 보여드리며 자랑하고 싶어도 보여드릴수가 없었지요. 그래 나도 내 몫의 들일이라도 했으면 생각했지요. 그렇게해서 할아버지의 칭찬을 듣도 싶었거든요. 물론 할아버지와 일찍이 잠자리에 들어 ‘오늘 이만큼 배웠습니다’하고 외워 보여 할아버지로부터 장하다는 칭찬을 듣고는 했지만 그 칭찬이 그렇게 반갑게 느껴지지 않았어요. 왜냐하면 할아버지께서는 배우지 못하셨기 때문에 내가 얼마나 잘 외우고 있는지를 당신은 모르셨거든요.

단지 동네어른들과 서숙의 선생님으로부터 내가 제일 영특하다는 말을 듣고, 그저 영특하려니 하는 선입감에서 내가 외우는 글소리를 듣고 칭찬하는 것이니 나도 할아버지이 칭찬은 헛칭찬이려니 하고 내 나름대로 생각했지요. 물론, 다른아이들보다 언제나 앞서가곤 했지만 할아버지가 글을 깨쳐 내가 외우는 글을 바로 잡아주실수 있으셨다면 내 배움의 진도도 훨씬 빨랐을거예요.”

 

기술인인 그때 할아버지께서 글을 모르는 것을 기화로 잘못 외우신 적은 없느냐고 묻자 큰스님은 빙긋이 웃으시면서 이렇게 말씀하셨다.

“ 물론 있었지요. 아직까지는 내 총기는 한번 나를 찾아와 인사를 나눈 사람의 얼굴은 물론 이름까지 기억할 정도이지만 그날 배운 것은 그날 다 외워 소화한다는 것은 그렇게 쉬운일은 아니지요. 어느때인가는 외우다보니 잘못 외우고 있었어요. 얼른 이를 깨닫고 할아버지 쪽을 보며 ‘할아버지 틀렸어요. 다시 외울께요.’ 하고 할아버지를 바라보니 코를 골고 계시더군요”


------------------계속 연재 중--------------------------------------------------

 

SNS 기사보내기
SBC불교일보
저작권자 © SBC 서울불교방송 불교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