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kyonews_header.jpg

Total 16,711
세계불교법왕청 바르게 알자   세계불교법왕청 세계불교법왕 일붕 서경보 존자님은 1914년 제주도에서 출생하여 호는 일붕(一鵬)이며 엄격한 유교 가정에서 태어나 소년시절에는 사서삼경(四書三經) 노자(老子) 장자(莊子)등 학문을 섭렵했으나 늘 회의속에서 꿈을 갈구하던 중, 1932년 제주도 산방굴..
슬픔을 창조성으로 바꾸는 시적 전략 2006년 《경남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한 한인숙 시인의 네 번째 시집 『베짱이로 살기로 했다』가 시인동네 시인선 201로 출간되었다.  이번 시집에서 드러나는 한인숙 시인의 슬픔은 단순히 정서를 표출하는 차원이 아니라 그 근원을 캐고 들어가 언어적 아이러니를 형성하려는 시적 전략으로 ..
나만 힘들고 나만 불행하다고 느껴질 때 읽는 따듯한 위로 에세이불행은 제 맘대로 와도 행복은 내 맘대로 결정할 수 있기에오늘 나의 행복을 위해 역경을 살짝 지르밟는 유쾌한 분투기 이삼십 대를 역경 종합세트로 보내야 했지만, 유쾌하게 뛰어넘는 흙수저 청년의 분투기. 희귀병을 비롯한 네 번의 시련을 겪지만, 그 가운데 인생을 바..
국립세종수목원서 선보일 아라홍련  [함안군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은 오는 13일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국립세종수목원 한국전통정원 내 궁궐정원에서 '700년 아라홍련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2일 밝혔다. K-정원문화 가치 증진을 위해 마련된 특별전에는 경남 함안군의 700년 역사와 전통을 담은 '아라..
조계종 종정예하 중봉 성파 대종사가 오는 6월 3일 계묘년 하안거 결재를 앞두고 수좌들에게 부단한 정진을 당부하는 법어를 내렸다.성파 대종사는 하안거 결재 법어에서 “도(道)를 배우는 사람이 참됨(識眞)을 알지 못하고, 다만 본래의 알음알이(識神)를 잘못 알기 때문이다. 끝없는 옛적부터 생사의 근본이거늘, 어리석은 사람은 본래의 몸..
사진=태고종 선암사 한국불교태고종 태고총림 방장 지암 스님은 3일 계묘년 하안거 결제법회에서 '선암사 십이조례'를 강조한 결제법어를 내렸다.선암사 십이조례는 1798년 부처님오신날, 눌암식활(1752~1830)스님이 제정했다. 이는 선방에 들어 참선하려는 납자가 반드시 지켜야할 12가지 금기사항이다. 선암사 칠전의 달마전 현판 옆에 '십..
윤석열 대통령과 종교지도자 오찬에 참석한 각 종교 대표들이 담소를 나누며 걷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은 5월 30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취임 이후 두 번째로 ‘종교지도자 오찬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불교, 개신교, 천주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한국민족종교협의회 등 9명의 종교계 지도자들이 초청됐..
시詩처럼 만나는 반야심경 이야기 여러분도 영혼의 백신 같은 〈반야심경〉을 옆에 놓고 어느 순간 홀연히 고통으로부터 행복으로 건너가는 이정표를 발견하기를 소망해 본다. 산 자에게는 업장을 소멸시켜주며, 영가에게는 병든 영혼을 치유한다고 내가 아는 스님 분들이 술회하고 있으니 여러분도 그러한 행복을 찾아 누리시기를 바란다. ..
대장경의 바다에서 건져 올린부처님의 말씀과 조사의 가르침 수많은 불경의 내용을 어찌 다 알 수 있을까. 불교는 종교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넘기 어려운 산이다. 서산대사 휴정은 부처의 마음을 헤아리고 싶지만 드넓은 대장경의 세계 앞에서 감히 들어갈 엄두조차 못 내는 이들을 위해 절실한 말을 뽑고 자상한 풀이를 달아 이 책을 완성..
사주당 이씨가 쓰고 그의 아들 유희가 언해한 이래로 사주당의 딸들은 물론이고 후손들, 전국의 유학자들이 여러 세대에 걸쳐 쓴 서문, 발문, 비명(碑銘) 그리고 이본(異本) 등으로 확장되고 변주되며 이어져 온 ‘우리나라 최초의 태교서’ 태교신기 및 태교신기언해의 역주서이자 연구서이다.  그동안 여러 차례 역주가 진행되었으나 ..
<불교미술 시대정신 >은  한국의 미술사에서 그간 도외시되어왔던 불교미술을 총망라함으로써 각 시대가 담고 있는 미적 기준과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불교미술의 가치를 깨닫게 하는 보기드문 수작이다. 불교미술에 대한 단순한 열거가 아니라 우리 불교계가 가지고 있는 문제와 미래 가치를 논함으로써 향후 불교미술..
“내 나이 오십,잠시 숨을 고르며 새로운 무대를 준비하는 시간”_오십부터는 인생관을 달리해야 한다 인생 전반기에는 앞만 보고 달려왔다. 한시라도 빨리, 남들보다 빨라야 했다. 목적지가 어딘지는 모르겠지만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어느덧 오십에 이르러 문득 의문이 들었다. 여기가 어딘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모른 채 나에게 숨 ..
시전(詩田)에서 화엄(華嚴)의 바다로 ‘시 캐는 농부’로 알려진 안원찬 시인의 다섯 번째 시집 『낮술은 너무 슬퍼서』가 시인동네 시인선 203으로 출간되었다.  안원찬에게 시 쓰는 행위가 ‘도피안’의 정수(精髓)라면 밭을 갈고, 차를 우리고, 꽃을 그리고, 장을 보고, 휘적휘적 내딛는 발걸음은 모두 시작의 밑바탕으로서 수행의 표..
늦었지만 결코 늦지만은 않은 세계 1999년 월간 《문학21》로 등단한 최수영 시인의 첫 시집 『상처는 소리를 감추고 있다』가 문학의전당 시인선 360으로 출간되었다. 최수영 시인은 고백과 성찰을 통해 오래되지 않은 더께를 벗겨낸다. 그 더께 아래 감춰진 희망의 빛을 되살아나게 한다. 그 희망의 빛에 담긴 마음이 최수영 시인이 시를..
세계의 끝에서 돌아보는 세계 2016년 《미네르바》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이원숙 시인의 첫 시집 『거미학자와의 인터뷰』가 시인동네 시인선 202로 출간되었다. 『거미학자와의 인터뷰』가 그리는 세계의 풍경은 어둡고 축축하다. 이 세계에는 장마가 끝나지 않는 것처럼 늘 비가 내린다. 떠돎이라도 목적지가 있으면 여..
총무원장 진우스님이 최응천 문화재청장 등과 함께 환수된 성보를 확인하고 있다.  왼쪽부터 화평스님,탄원스님, 최응천 문화재청장, 대진스님,제정스님,총무원장 진우스님,주혜스님 조계종(총무원장 진우스님)과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5월23일 오후2시 한국불교역사문화기념관 1층 로비에서 '도난 불교문화재 환수고불식'을 거행..
 1  2  3  4  5  6  7  8  9  10